[이상원 /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분석단장] <br />1월 31일 코로나19 감염병 정례 브리핑 시작하겠습니다. <br /> <br />전파력이 높은 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확진자가 크게 증가하여 지난주 1만 명이 넘는 환자가 발생하였으나 사망자와 위중증자는 감소를 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오미크론 변이가 그간 코로나19와 비교해서 전파력은 월등히 높고 위중증률이 낮음은 이제 명확합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병원체 특성이 변화함에 따라 대응정책도 변화되고 있으며 지금 하나씩 이를 이행 중임을 말씀드립니다. <br /> <br />현재의 위험도 평가 결과를 말씀드리겠습니다. <br /> <br />1월 2주차, 즉 1월 9일부터 15일까지의 주간 위험도 평가 결과 종합위험도는 전국, 수도권 그리고 비수도권 모두 높음으로 평가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의료대응역량 대비 발생 비율은 전국, 수도권, 비수도권에서 모두 상승하였지만 중환자실 병상가동률은 전국, 수도권, 비수도권 모두 감소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입원환자는 2주 만에 2배 정도 증가하였지만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 수는 감소세를 이어갔습니다. <br /> <br />주간 일일 확진자 수는 1만 명을 초과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전파력이 높은 오미크론 변이의 확산을 고려해서 편의성이 높은 신속항원검사를 적극 활용토록 검사방식이 전환되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주에 오미크론 변이 검출률은 80%를 돌파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그렇지만 오미크론 변이의 위중증률과 치명률은 각각 0.42%와 0.15%로 델타 변이와 대비해서는 뚜렷하게 낮은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1월 4주에 일상회복지원위원회 방역의료분과는 다음과 같은 의견을 제시하여 이를 말씀드립니다. <br /> <br />지금 오미크론 변이 우세화에 따라 확진자 수 증가로 입원율은 높아졌지만 중환자와 사망자는 모두 높아지지 않아 대응 역량을 유지 중입니다. <br /> <br />오미크론의 낮은 중증화율을 고려한 의료대응체계 전환과 평가의 필요성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감염 고위험군을 중심으로 해서 검사체계를 전환하고 일반 의료체계에서 코로나19의 진단과 치료가 병행할 수 있도록 하며 학교 대면교육 지속을 위해 청소년 및 어린이 백신 접종을 위한 소통이 계속되어야 합니다. <br /> <br />다음으로 주간 발생 동향 구체적으로 말씀드리겠습니다. <br /> <br />1월 23일부터 29일까지 1주간 일평균 재원 중인 위중증 환자 수는 369명이며 사망자 수는 183명으로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 모두 전주 대비해서 25% 이상 감소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1월 4주의 사망자 수는 6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0131141623848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